해외선물 시장구조

* 해외선물 시장구조
해외선물 시장은 선물거래소와, 청산소, 해외중개회사, 국내 금융투자회사, 마지막으로 투자자 이렇게 구성됩니다.
* 선물 거래소(Futures Exchange)
선물 거래를 진행을 하시기에 앞서 개별적으로 상품을 규격화를 하여 포인트를 정한 장소에서 거래가 이뤄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과정같은 경우를 상장이라고 칭합니다.
이런 상장된 주식 파생상품들 중 선물 상품들을 공정하게 거래를 하기 위해서 생겨난 곳들이 바로 거래소라고 합니다.
그리고 거래소에 상장이 된 상품은 거래소 내에서 투자자들에게 힘입어 거래를 하게되며, 거래되는 상품들을 장내 파생상품이라 불리웁니다.
* 청산소 (Clearing House)
선물 거래소의 부설기관으로는 선물 거래에 있어서 청산소는 각자의 거래를 진행하실때 역할을 뜻 합니다.
즉 쉽게 말씀드리자면 매수자에게는 매도자의 역할을 안내해드리고 매도자에게는 매수자의 역할을 안내함으로써 해당 시장의 거래형성을 활성화합니다.
이는 선물시장 참여자에게도 투명한 거래를 진행하실 수 있도록 해주며 선물 계약에 정산 및 실물정산 등 결제 기능도 수행을 진행합니다.
* 해외 중개회사 (Futures Commission Merchant)
해외 선물거래소에서 상장이 되고 상품의 선물거래를 위해서 지정된 거래소에서 중개업자를 통해서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국내 부동산에서 본인이 소유한 본인이 소개해준 매물건이면 본인을 통해 구매를 하실 수 있는 것 처럼 거래소를 통해서 투자자의 맞는 주문을 수락하여 주문 및 체결내역을 전달 및 결제내역을 관리해주는 곳입니다.
* 국내 금융투자회사 (introducing Broker)
국내 금융투자회사로서 증권회사나 선물회사 등 이에 포함이 되므로, 국내 투자자들과 해외 중개회사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진행합니다.
금융 투자회사는 각각의 해외 거래소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자격 조건을 충족하시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해외 거래소의 중개자격이 하달된다면 해외 중개회사와의 제휴 계약을 맺어 국내 투자자분들에게 해외선물 파생상품 투자를 중개를 해주는 역할입니다.
Hits: 287